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보확인3

"생활형 숙박시설" 주택이 될까? 생활형 숙박시설이란 ? : 주거와 세탁(생활)이 가능한 숙박시설 입니다. ​ 정확하게는 주택으로 분류되지 않고, 숙박시설로 분류되어 실거주를 하기 위해서는 "장기투숙 신청"을 해야하는 주택입니다. ​ ​ 그러다보니 생활형숙박시설은 주거용(아파트 대체제)로 쓰이기도 하고 숙박시설로 쓰이기도 합니다. 예를들어 남산세트럴뷰스위트 경우는 주거용이 아닌 숙박시설로 쓰이는 생활형숙박시설입니다. ​ ​ 생활형 숙박시설 분양 목적 생활형숙박시설을 분양계약하기 전에 해당 생활형숙박시설이 주거용인지 숙박용인지 직접 확인하시고 본인 투자 목적에 맞는지 알아보셔야합니다. 분양의 목적이 주거인지 월세를 받는 것인지, 에어비앤비운영인지 투자목적을 명확히 하고, 분양받는 생활형숙박시설이 본인의 투자목적에 부합하는지 실제로 확인하세.. 2021. 7. 13.
임대주택 임대보증금-상호전환 단순 계산법! #청년임대주택 #상호전환 #월임대료상호전환 #월임대료전환 ​ ​ 임대주택 임대보증금과 임대료는 상호전환이 가능합니다! 공고문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상호전환 계산법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 ​ 전환 방법은 월임대료의 40% 또는 66,670원 중 큰 금액을 월 임대료로 남기고, 전환할 금액을 6% 이율로 계산해서 임대보증금을 올리는 방식입니다. ​ 임대보증금-월임대료 전환 예시 위의 보증금 200만원에 월임대료 374,630원을 기반으로 계산해보겠습니다. ​ ​ 1. 남길 월 임대료를 계산한다. (월임대료의 40% 또는 66,670원 중 큰 금액) -> 374,630 x 0.4 = 149,852원 ​ 2. 보증금으로 "전환할 임대료"를 계산한다 => 374,630 - 149,852 = 224,778.. 2021. 6. 29.
2021년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확인 & 월평균소득 확인방법 #월평균소득 #건강보험공단 #도시근로자월평균소득 ​ ​ 2021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확인하세요. ​ ​ 2021년 주택 공급 확대와 더불어서 가구당 월평균소득기준도 대폭완화될 예정입니다. ​ 대부분의 임대주택이 월평균소득 100% 기준이며, 1인가구시 120%, 2인가구시 110%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 ​ 소득기준이 되는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도 소득을 기준으로 합니다. ​ 2019년 : 2020년 3월 1일부터 2021년 2월 28일까지 사용 2020년 : 2021년 3월 1일부터 2022년 2월 28일까지 사용 ​ 통계청에서는 전년도의 소득자료를 조사해 다음해 3월 초에 발표하게 되고 이를 근거로 LH, SH 등에서 도시근로자 가.. 2021. 6. 26.
반응형